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 사업

실업급여 신청 사유와 신청 방법 그리고 수령액은 얼마인지 알아보자( 나는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by 정보 전달러 정보 마당 2025. 3. 31.
728x90
반응형

실업급여 신청 사유 및 신청 방법 그리고 수령액과 수령 일수는 얼마일까?

오늘은 실업급여가 무엇인지 그리고 신청 가능한 사유와 신청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실업급여 상한 액수는 얼마일까요? 그리고 얼마동안 받을 수 있을까요? 실업급여에 대한 모든 것을 지금부터 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업급여란 무엇일까?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때,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실업급여는 구직급여취업촉진수당으로 나뉘며, 구직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2. 실업급여 신청가능 사유 목록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했을 때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정당한 사유가 인정될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비자발적 퇴사 사유 8가지

1. 권고사직의 경우

회사의 구조조정, 경영 악화 등의 이유로 해고된 경우에 신청 가능합니다

2. 근로계약 만료의 경우

계약직 근로자의 계약이 연장되지 않은 경우에 신청 가능합니다

3. 임금 체불의 경우

2개월 이상 임금이 체불된 경우에 신청 가능합니다

4. 근로 조건 악화의 경우

근무환경이 근로계약보다 불리하게 변경된 경우에 신청 가능합니다

5. 직장 내 괴롭힘의 경우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근무가 어려운 경우에 신청 가능합니다

6. 건강상 문제의 경우

업무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었거나 질병이 발생한 경우 (의사의 소견서 필요)에 신청 가능 합니다

7. 통근 곤란의 경우

이직, 회사 이전 등으로 통근 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 증가한 경우에 신청 가능합니다

8. 기타 불가피한 사유의 경우

가족 돌봄, 배우자의 해외 발령 등 불가피한 이유로 퇴사한 경우에 신청 가능합니다

- 주의: 단순한 개인 사유(창업, 학업, 자발적 퇴사 등)로 인한 퇴사는 실업급여 대상이 아닙니다.

3. 실업급여 신청 방법

1. 이직확인서 제출

  • 회사가 고용보험공단에 이직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이직확인서는 퇴사 사유를 확인하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2. 실업급여 온라인 교육 수강

  • 고용보험 홈페이지(https://www.ei.go.kr)에서 실업급여 온라인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 교육 수강 후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3. 워크넷 구직등록

  • 워크넷 홈페이지(https://www.work.go.kr)에서 구직 신청을 완료해야 합니다.
  • 구직활동을 하지 않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4. 고용센터 방문 및 실업급여 신청

  •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실업급여를 신청합니다.
  • 필요한 서류: 신분증, 통장 사본, 이직확인서, 퇴직 증명서 등

5. 실업 인정 및 구직활동 보고

  • 매 4주마다 실업인정일에 구직활동 내역을 제출해야 합니다.
  • 구직활동 요건을 충족해야 지속적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실업급여 수급액 및 지급 기간

1. 실업급여 수급액 계산 방법

  • 평균임금의 60% × 1일 지급일수
  • 2025년 1일 상한액: 66,000원
  • 2025년 1일 하한액: 64,192원

이는 2025년 최저임금 시급 10,030원의 80%에 해당하는 금액을 8시간 근로로 계산한 결과입니다

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를 지급하며, 이 금액이 상한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2. 실업급여 지급 기간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고용보험 가입 기간과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입기간만 50세 미만 또는 장애인 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의 경우

1년 이상 ~ 3년 미만 120일 18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50일 210일
5년 이상 ~ 10년 미만 180일 240일
10년 이상 210일 270일

5. 실업급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원칙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임금 체불, 근로조건 악화, 직장 내 괴롭힘, 건강상 문제 등의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가능할 수 있습니다.

Q2. 실업급여 신청 기한이 있나요?

퇴사 후 1년 이내 신청해야 하며, 늦을 경우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Q3.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를 하면 어떻게 되나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실업급여가 중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6. 결론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실직 시 재취업을 돕기 위한 제도로, 정당한 퇴사 사유와 구직활동이 필요합니다. 실업급여 신청을 위해서는 이직확인서 제출, 온라인 교육 수강, 워크넷 구직 등록, 고용센터 방문 등의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실업급여 신청은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고용센터에서 진행해 주세요!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눌러주세요^^

2025.03.10 - [정부 지원 사업] - 아이 낳으면 1억?

[아이 낳으면 1억?

인천 아이 낳으면 1억 지원, 출산 장려 정책이 바꾼 미래최근 인천시는 '아이 플러스 1억 드림(i⁺ 1억 dream)' 프로그램을 통해 출산 장려 정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인

view3760.tistory.com](https://view3760.tistory.com/3)

2025.03.10 - [정부 지원 사업] - 2024년과 2025년 바뀐 정책 ( 저출산에 맞선 정부의 변화는?)

[2024년과 2025년 바뀐 정책 ( 저출산에 맞선 정부의 변화는?)

2024년과 2025년 바뀐 정부 출산 지원 정책: 변화된 혜택과 새로운 지원 제도출산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과 2025년에는 출산과 양육을 돕기 위

view3760.tistory.com](https://view3760.tistory.com/2)

728x90
반응형